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시오노 나나미

(8)
로마인이야기 제15권 - 로마 세계의 종언 오늘날 세계 가국의 교과서는 서기 476년을 서로마 제국이 멸망한 해로 명기하고 있다. 그런데 어느 교과서도, 어느 로마사 권위자도, 서로마 제국이 멸망한 '해'는 말하지만 '달'과 '날'은 말하지 않는다. 이유는 간단하다. 모르기 때문이다. 그래도 건국한 해인 기원전 753년부터 헤아리면 1,229년 뒤에 멸망했다. 천년이 넘는 장수를 누린 셈이다. 하지만 이것은 622년 전인 기원전 146년에 일어난 카르타고의 멸망과 비교해보면 얼마나 어이없는 종말인가. 로마는 카르타고보다 두 배나 긴 세월 동안, 카르타고와는 비교도 안될 만큼 광범위하게, 그리고 거기에 살았던 헤아릴 수 없이 많은 사람들에게 깊고 큰 영향을 주었지만, 허망하게도 '위대한 순간'은 갖지 못했다. 불타기는 했다. 하지만 화염으로 불탄 ..
로마인이야기 제13권 - 최후의 노력 얼핏 보기에 디오클레티아누스가 재편성한 후기의 로마 제국이 아우구스투스가 창설한 원수정 로마보다 조직체로서 더욱 질서정역하고, 따라서 함리적인 것처럼 보인다. 그렇다면 기능도 당연히 향상되었어야 한다. 하지만 실제로는 성질이 다른 각종 주민 공동체가 뒤섞여 제국을 구성하고 있던 서기 1세기나 2세기에 로마인의 안전은 더욱 잘 보장되었고, 그 성과인 '팍스 로마나' 밑에서 로마 제국의 경제는 번영을 누리고 있었다. 무엇 때문일까. 디로클레티아누스가 개편한 4세기 이후의 로마 제국이 조직체로서는 더 진화한 것이 분명한데. 왜 150년 뒤에 찾아올 멸망을 피하지 못했을까. 기원전 8세기에 시작하여 기원후 5세기에 끝나는 것이 로마사라는 역사관에서 보면, 로마의 전체 역사는 다음과 같이 진행되었다고 말할 수 잇..
로마인이야기 제12권 - 위기로 치닫는 제국 융성의 시대는 어느 민족이나 비슷하지만 쇠퇴기에는 저마다 다른 양상을 띠게 된다. 대제국 로마도 위기를 극복하는 힘을 상실하고 마침내 '3세기의 위기'로 돌입한다. 이 책에서 다룬 시기는 서기 211년부터 284년까지 73년간이다. 하지만 이 시대가 로마 역사에서 특별히 '위기의 3세기'로 불리게 된 것은 이 책 표지의 부조가 단적으로 보여주듯 로마 황제가 산 채로 적에게 붙잡히는 전대미문의 불행을 당했기 때문만은 아니다. 그 이전의 수많은 위기와 3세기의 위기는 '위기'라는 말은 같아도 그 성질이 전혀 다르기 때문이다. 극복할 수 있었던 위기와 시종일관 대처에 쫓길 수밖에 없었던 위기의 차이라 해도 좋다. 어렵더라도 로마인 본래의 사고나 방식으로 위기를 극복할 수 있었던 시대와 눈앞의 위기에 대처하는 ..
로마인이야기 제11권 - 종말의 시작 후세 사람들이 '오현제 시대'라고 부르며 칭송을 아끼지 않는 시대는 서기 96년부터 180년까지 약 1세기. 네르바, 트라야누스, 하드리아누스, 안토니누스 피우스,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등 다섯 황제가 다스린 시대다. 에드워드 기번의 '로마 제국 쇠망사'는 제1장부터 제3장까지 제정을 총괄한 뒤,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가 죽고 아들 콤모두스가 즉위한 180년을 기점으로 하는 제4장부터 쇠퇴와 멸망의 시대를 본격적으로 서술하기 시작한다. 즉 로마 제국의 쇠망은 오현제 시대의 종말과 함께 시작되었다는 역사관이다. 이런 생각은 기번의 시대로부터 200여 년이 지난 오늘날에도 전혀 달라지지 않았다.
로마인이야기 제10권 - 모든 길은 로마로 통한다 기원전 3세기에 주구의 동쪽과 서쪽에 대규모 토목사업이 시작되었다. 동쪽에서는 만리장성, 서쪽에서는 로마 가도. 중국과 로마는 왜 국가 규모의 대토목사업을 시작하면서 한쪽을 방벽을 건설했고 또 한쪽은 가도를 건설했을까. 방벽은 사람의 왕래를 차단하지만, 가도는 사람의 왕래를 촉진시킨다. 국가 방위라는 가장 중요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이민족과의 왕래를 차단할 것인가. 아니면 왕래를 촉진할 것인가. 두 민족의 이같은 사고방식의 차이는 결국 중곡과 로마라는 두 강국의 운명까지 결정했다. 중국의 만리장성과 로마의 도로망. 이 둘의 차이는 분명 지구의 동과 서의 차이보다 훨씬 컸다.
로마인이야기 제8권 - 위기와 극복 네로 황제가 죽은 뒤에 터지는 피로 피를 씻는 내란! 1년 사이에 세 황제가 피살되는 극심한 혼란이 야기된다. 이를 틈타 제국 변경에서 로마의 심장부를 노리는 유대족, 갈리아족, 게르만족과 베스파시아누스 간의 운명을 건 대격돌이 전개된다. 그리고 아름다운 도시 폼페이를 집어삼킨 베수비오 화산이 폭발한다. 인간은 자기가 사는 시대의 위기를 다른 어느 시대의 위기보다 가혹하게 느끼는 성향이 있다. 이 사건들은 그 하나하나가 당대의 로마인이 그대로 짓눌려 쇠퇴의 길을 걷느냐, 아니면 이겨내고 재기의 길을 걷게 되느냐 하는 선택을 로마인에게 강요한 '위기'였다. 위기를 극복하는 과정에서 융성을 이룩하는 로마인! 로마인의 역사는 '위기와 극복의 역사'라 바꿔 불러도 좋다.
로마인이야기 제7권 - 악명높은 황제들 로마가 흔들리고 있다. 카이사르가 청사진을 그리고, 아우구스투스가 애써 구축한 로마 제정이 '지도자 실종의 위기' 앞에 흔들리고 있다. 아우구스투스의 유산을 물려받은 네 명의 황제 티베리우스, 칼리굴라, 클라우디우스, 네로... 많은 역사가들은 이들을 '악명높은' 황제들이라 낙인찍었으나 그들 제국의 나날은 영광의 깃발을 드높였다. 대혼란의 금융위기, 대형재해, 식량난, 제국의 운명마자 삼킬지 모르는 반란... 황제의 양어깨는 무겁다. 로마사에 던져진 그들의 죄과도, 빛나는 위업도 단지 황제의 흉상이 새겨진 동전의 양면일 따름이다. 망하든 흥하든 대제국의 운명은 어차피 그들의 것이었다.
로마인이야기 제5권 - 율리우스 카이사르(하) 왔노라, 보았노라, 이겼노라! 세계의 운명을 한몸에 응축시키고 카이사르는 마침내 루비콘을 건넜다. 그리고 그는 단 5년 만에 모든 것을 해냈다. 지중해 동서남북에 걸친 격렬한 전장에서의 위대한 승리, 세기의 여인 클레오파트라와의 냉혹한 사랑, 고도성장기에서 안정성장기로 접어든 국가 로마의 일대 체제개혁, 다인종·다민족·다종교·다문화가 공존공영하는 코스모폴리탄의 구현. 기원전 44년 3월 15일 "브루투스 너마저도"의 외마디 비명과 함께 율리우스 카이사르는 죽어갔으나 그후 로마는 결국 그가 깔아놓은 역사의 궤도 위를 달려간다. 보편과 특수, 멈춤과 움직임, 기존의 것과 새로운 것이 하나로 집약되어 최정점을 이룬 역사의 영웅 율리우스 카이사르! 그는 개혁의지에 불타오른 이상주의자였으며 힘차고 건전한 정신의 ..

반응형